1. 100년전 아이들은 어떻게 살았을까의 지은이는?
(정답) 한석청
2.(8쪽) 아이가 태어날 때 사용하는 물건이 아닌 것은?
(정답) ④세숫대야 - 놋대야
① 무명 끈 ②마른 수건 ③세숫대야 ④배냇저고리
3.(10쪽) 아기가 태어났으니 다른 사람은 출입하지 말라는 표시로 하는 것은?
( 줄 / 남자아이 - 새끼줄에 빨간 고추와 숯과 솔가지
여자아이 -
4. (11쪽) 커다란 솥을 걸어 밥이나 국도 끓이고, 방도 덮히는 것은?③
①주둥이 ②부두막 ③아궁이 ④부엌
5. 상이 4개 있습니다. 함께 밥을 먹을 수 있는 사람끼리 짝지어 보세요
6. 할머니 방에 있던 군것질 거리가 아닌 것은? ④
①꿀 ②사탕 ③곶감 ④누룽지
7. 저 건너 장서방네 비가 오겠니? 하며 날씨를 물으며 노는 놀이의 이름은?
(정답) 멍석말이 놀이
8.(20쪽)램프를 왜 남포라고 부르나요?
9.석유장수가 할아버지에게 준 것이 아닌 것은?
①들기름 등잔 ②석유 등잔 ③석유 램프 ④성냥
10.(23쪽) 봄에 먹을 것이 없어 보리가 익을 때까지 겪는 고개를 무엇이라고 하나요?
(정답)보릿고개
11. (23~25쪽)그 시기에 먹던 먹거리를 모두 찾아 쓰시오.
(정답) 나물죽, 냉이, 메, 칡뿌리, 소나무가지로 만든 송기떡, 버찌, 오디, 산딸기, 영글지 않은 보리 이삭
12. 영글지 않은 보리 이삭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정답)풋바심
13.(28쪽)글을 배우던 곳은?
(정답) 서당
14. 다음은 천자문에 대한 설명입니다.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④
①중국 양나라때 주홍사라는 분이 지었습니다.
②이것을 지을 때 머리가 하얗게 되어 백두문이라고도 합니다.
③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선조 임금 때 한석봉 선생님이 지으셨습니다.
④글자가 천자이나 반복되는 글자가 있습니다.
15.(29쪽) 서당에서 가장 중요한 행사로 책씻이 때 하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②
①부모님은 떡과 과일 같은 음식을 푸짐하게 차려 함께 공부한 아이들에게 베푼다.
②아이가 책 한권을 다 외워야지만 한다.
③친구들은 샘이 나기도 하나 얻어먹는 음식 때문에 즐겁다.
④훈장님에게 새 옷을 마련해 드리기도 한다.
16. 서당에서 배우는 책들은?
(정답)소학, 동몽선습, 명심보감, 천자문
17.(31쪽) 미국인 스크랜튼이라는 여자 선교사가 세운 학교는?
(정답) 이화학당
18.한글의 옛 이름은?
(정답) 언문
19. 한글을 읽으면 읽던 책이 아닌 것은?③
①구운몽 ②홍길동전 ③내훈 ④춘향전
20.(32쪽)서로 관계있는 것 끼리 짝을 지어보세요
더러움을 날아가게 하는 것 |
• |
|
• |
색경 |
머리를 감을 때 쓰는 것 |
• |
|
• |
댕기 |
거울의 또 다른 이름 |
• |
|
• |
동백기름 |
머리를 땋을 때 쓰는 물건 |
• |
|
• |
비누 |
머리를 빗을 때 쓰는 물건 |
• |
|
• |
참빗 |
머리에 바른 것 |
• |
|
• |
창포 |
21.(35쪽)물볼기는 어떤 아이가 맞는 것인가요?
22.(37쪽) 비오는 날 입는 신발과 옷의 이름은?
(정답) 나막신과 도롱이
23.(40쪽)물고기 잡는 방법과 관련된 것을 연결해 보세요
물고기를 잡기 위해 먹이로 주는 것은 |
• |
|
• |
통발 |
물고기를 잡는 도구로 싸리나무를 엮어 놓은 것 |
• |
|
• |
반두 |
도랑에서 물고기를 잡는 도구 |
• |
|
• |
다래끼 |
물고기를 잡았을 때 담아두는 곳 |
• |
|
• |
된장 |
24. 빠른 물살을 좋아하는 물고기들 4가지는?
(정답)피라미, 쏘가리, 꺽지, 빠가사리
25. 느리거나 고인저수지를 좋아하는 물고기들은?
(정답) 메기, 가물치, 붕어, 미꾸라지
26.(42쪽)도랑에 사는 것으로 항아리에 소금을 넣고 삭히면 밑반찬이 되는 것은?
(정답) 참게, 민물새우
27.(43~45쪽) 여름을 나기 위해 하는 것이 맞으면 ○ 아니면X하시오
①보리를 베기 전에 마당 다지기를 한다 ( )
②보리고개를 넘은 아이들의 얼굴은 헬쓱하다 ( )
③열 한두 살쯤 먹은 아이들은 짚신 삼기를 배운다 ( )
④아이들은 감자, 참외,콩, 개구리 참외등을 서리한다. ( )
⑤아이들이 좋아하는 서리중 가장 좋아하는 것은 콩서리이다. ( )
28. (48~49쪽) 삼촌은 왜 텃 구렁이를 잡지 못하게 했을까요?
29.(51쪽) 8세에서 15세 이하의 학동들이 다니던 곳은?
30.(52-53쪽)신식학교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 O, 틀린것은 X 하시오
①1985년 고종 임금님이 반포한 ‘소학교 시행령’으로 만들어졌다 ( )
②신식학교는 4년제이다. ( )
③신식학교에서는 산술, 습자, 국어, 체조를 배웠다. ( )
④입학시험에 떨어진 아이들은 계속 서당에 다녔다.
⑤신식학교가 생겨 훈장님은 매우 좋아하였다. ( )
31.(57쪽) 옷을 예쁘게 다듬는 것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32.(58쪽) 들녘에서 갓 거두어온 벼를 찧는 도구로 물의 힘을 이용한 것은?
33.(59쪽) 왕겨와 겨로 가려져 바닥에 쌓이고 키 안에는 쌀만 남게 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34.(63쪽) 소학교 수학여행 때 한 일이 아닌 것은?
①선생님과 아이들은 모두 괴나리봇짐을 짊어졌다.
②봇짐 속에 들어 있는 것은 미투리 한 켤레, 엿, 인절미, 삶은 달걀, 버선, 새끼줄
③전차, 흥인지문 밖 발전소, 난전, 창덕궁, 덕수궁 등을 구경했다.
④아이들은 꿈속에서도 서울구경을 하였다.
35.(67쪽)병사들은 왜 가짜 상투를 하였나요?
36.머리를 서양 처럼 짧게 깍으라는 명령은 무엇인가요?
37.(68쪽)겨울나기에 하는 일들은 무엇인가요?
①벼 이삭 줍기
②이엉을 엮어 지붕을 새로 잇기
③겨울장작 패기
④겨울에 먹을 무청, 무말랭이, 토란대, 도토리등 겨울 먹거리 준비하기
38.(71쪽)널뛰기, 윷놀이, 오곡밥, 연싸움, 달집태우기, 쥐불놀이를 하는 때는 언제인가요?
39.연싸움을 할 때 연줄에 ‘가미 먹인다’라는 뜻으로 이것을 묻힙니다. 이것은 사기의 깨진 조각을 갈아 만드는 것입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40.(74쪽)마을에 어른이 돌아가시면 치르는 것으로 장례절차에 대해 옳으면o 틀리면X하시오
①장례는 유학자 주자 선생이 지은 ‘주자가례를 따랐다’ ( )
②어른이 돌아가신 집에는 조등을 내걸고 조문객을 맞는다. ( )
③어른이 돌아가신 집에는 아이부터 어른까지 모두 삼베로 지은 건을 쓰고 베옷을
입어야 한다. ( )
④상가를 돌아다니며 상제들을 대신해서 울어주며 대가를 받는 사람을 곡비라 한다.
( )
⑤곡비는 상가집에서 귀한 대접을 받았다. ( )
⑥어른들은 상여를 꺼내 꽃상여를 만들기 위해 살아있는 진짜 꽃을 꽃는다.( )
⑦돌아가신 분을 향나무로 삶아 낸 물로 닦고 수의를 입히는 것을 염습이라고 한다.
( )
⑧돌아가신 어른들 입에 백석, 천석, 만석 하며 곡식을 넣어 드린다. ( )
41.(76쪽)장례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보통장은 사흘(3일)장이다.
②돈이 많은 사람은 4일이나 7일장을 지낸다.
③벼슬을 지낸 사람들은 10일장을 지낸다.
④돈이 많거나 벼슬을 지낸 사람은 5일이나 7일장을 지낸다.
42.(77쪽)‘어해 어허’란 뜻은?
43.(78쪽)결혼하기 위해 준비하는 것에 맞으면 O, 틀리면X 하시오
①태어난 해와 시각, 이름 따위를 적은 사주를 서로 교환하고 혼례날짜를 잡는다.
( )
②신랑은 사모관대를 하고 말을 타고 신부의 집으로 간다. ( )
③신랑과 신부는 결혼하기 전 서로 만나본다. ( )
④신랑이 신부의 집으로 갈 때에는 기러기 한 쌍을 잡아 간다. ( )
⑤신부는 족두리에 연지곤지를 찍고 초례청에서 맞절을 한다. ( )
⑥표주박에 담긴 술을 나눠 마시는 것을 합근례라고 한다. ( )
⑦신랑 신부는 첫날밤은 신부의 집에서 지낸다
44.(82쪽)소 돼지를 잡아서 돈을 버는 사람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45. 가죽신을 만든 것을 직업으로 삼던 사람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46. 무리를 지어 다니면서 노래와 춤을 팔던 사람들을 무엇이라고 하나요?
47. 양반들은 왜 백장이 아이와 함께 공부 할 수 없다고 하였을까요?
48.(86쪽)마을 사람들이 신성하게 여기는 곳으로 마을의 수호신이 있다고 생각한 곳은 어디인가요?
49.(88쪽)나무를 세워 만든 수호신 2가지는?
50.수호신이 하는 일은?
'초등독서3-4학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똥,갯벌이좋아요,지각대장존,책먹는여우 (0) | 2010.06.02 |
---|---|
지구를 살리는 청소부-꿈소담이 (0) | 2010.05.28 |
어느날 우리 반에 공룡이 전학 왔다 (길벗스쿨/ 서지원 글/ 설은영 그림) (0) | 2010.05.20 |
캠프3 43호 작은엄마 독서퀴즈 (0) | 2009.11.17 |
생명의 저울 사자성어 카드 (0) | 2009.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