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지난해 3월 짐 모리 일본 교토대학 교수는 “10년 안에 인도네시아에서 대지진이 일어날 것이며 일본도 상황이 다르지 않다”고 예언했다. 대지진(메가스러스트·Megathrust)은 진도 9 내외의 규모로, 하나의 지각판이 다른 지각판 밑으로 말려 들어가면서 오랫동안 응축된 에너지가 한꺼번에 분출해 발생하며 대형 쓰나미를 동반한다. 인도네시아에서는 2004년 대형쓰나미로 22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수마트라 인근에서의 9.1 규모 지진을 시작으로 이듬해 8.6 규모의 지진 등이 인근 지역에서 연이어 발생해 큰 피해를 입힌 바 있다. 3월11일 오후 일본 도호쿠 지방 부근 해저에서 발생한 대지진으로 짐 모리 교수의 예상은 적중한 셈이다. 이번 지진은 지금까지 밝혀진 바로 진도 8.8 규모로, 해일을 동반하고 있고 환태평양 지각판이 마찰하며 가라앉는 판 경계면에서 발생한 것으로 미루어 대지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앞으로 20년간 지속 가능성”
문제는 이 지진이 ‘일회적인 것이냐’다. 일부 전문가들은 1950년대부터 20년 정도 계속됐던 ‘대지진기’가 50년이 지난 2000년대에 다시 시작된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았다. 이른바 ‘50년주기설’이다. 그 예로 2010년 2월 칠레에서 발생한 진도 8.8 규모의 지진과 이전에 있었던 2004년의 인도네시아 지진, 2008년 중국 쓰촨성에서의 규모 8 지진, 2009년 미국령 사모아섬에서 있었던 진도 8 규모의 지진 등을 예로 든다.
홍태경 연세대 교수(지구환경과학부)는 “1905년 지진 규모를 측정하기 시작한 뒤 칠레에서 있었던 9.5 규모의 지진이 지금까지 기록된 지진 가운데 가장 큰 규모였다”며 “1950년대의 상황과 비교해봤을 때 대지진기로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고 전망했다. 홍 교수는 이번 지진이 있기 이틀 전인 3월9일 일본 북동부 지역에서 일어난 규모 7.2의 지진을 예로 들며 “지각이 일정한 충격을 받은 상태에서 인접지역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최근 이틀 사이 연이어 일어난 일본 지진처럼 앞으로도 큰 지진이 계속 발생할 수 있다. 50년 전에도 대지진기가 20년 정도 지속돼다 평형 상태로 간 것을 감안하면 이번에도 20년 정도는 지속될 가능성이 있으니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론도 만만찮다. 이번 지진이 보기 드문 규모인 것은 맞지만, 원래 ‘불의 고리’라 불리며 한 해 전세계 지진의 9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지진이 잦은 환태평양판에서 발생 가능한 한 사례일 뿐이라는 것이다. 특히 일본은 태평양판과 유라시아판이 만나는 경계지역이며 이 지역에서는 언제 어느 때든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여지가 있어 이번 지진을 두고 대지진주기설을 말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한다. 이현 기상청 지진관리관은 “지진은 각각의 규모만을 이야기할 뿐 대지진이라는 엄밀한 구분은 없다”며 “다만 환태평양판이 움직이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지진이 있을 수 있다는 정도의 얘기는 당연히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리관은 “주기설은 학자들이 수백 년, 수십 년 등으로 얘기하는데, 학자들의 연구 결과이기는 하지만 정부에서는 과학적인 근거로 받아들이고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일본 지진으로 한국 해일 피해 입기도
논쟁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에게 지진 피해가 있을지 여부다. 우리나라는 유라시아판 내부에 있어서 일본이나 칠레처럼 판과 판의 경계지역보다는 안전한 지대로 분류된다. 우리나라도 연평균 43회 지진이 발생하고 있지만 우려할 정도는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전문가들이 더 우려하는 것은 지진보다는 해일이다. 이번 지진은 일본 동쪽에서 발생한 것이어서 우리 쪽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일본 서쪽 해안에서 발생한 경우에는 우리에게 직접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1983년과 1993년 일본의 지진으로 인한 해일로 피해를 입었다. 1983년 일본 혼슈 서쪽에서 발생한 규모 7.7의 강진 여파로 강원 삼척군에 최대 4m의 해일이 일어 선박이 전복되는 등 재산피해와 인명피해(사망자 1명)를 낳았다. 1993년 7월 일본 남서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7.8의 지진은 동해안 전역에 0.5~2m의 해일을 만들어 어선 수십 척을 파괴했다.
하어영 기자 haha@hani.co.kr
|
'신문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티브잡스 전기작가 월터아이작슨 인터뷰 (0) | 2011.11.09 |
---|---|
벽 전체가 서울시민들 ‘메모’로…박원순 시장실 화제 (0) | 2011.11.09 |
[스크랩] 미 뉴욕대 교수, 뒤통수에 ‘제3의 눈’ 달았다 (0) | 2010.11.25 |
[스크랩] 러시아, 화성 착륙 무인우주선 2011년 발사 (0) | 2010.11.22 |
[스크랩] 소년 `인간방패`로 쓴 군인들 집행유예 (0) | 2010.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