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독서5-6학년

압록강은 흐른다(상/하) - 다림출판사

글과 노는 자영 2012. 7. 19. 14:40

생각열기

유럽여행을 가는 방법으로는 어떤 방법들이 있을까?

내가 여행 또는 유학을 간다면 어느곳으로 가고 싶은가?

그곳에서 어떤 공부를 하고 싶은가?

외국을 여행해 본 경험이 있다면 어떤 것이 신기했었나요?

우리나라에 여행또는 유학을 온 외국인에게 낯설거나 신기하게 보이는 것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기사 : 외국인이 이해못하는 한국문화 살펴보니 `폭소`>

지난 6일 방송된 SBS TV ‘세대공감 1억퀴즈쇼’에서 “‘우리나라 거주 외국인 1000명 조사’ 결과, 한국 여름 문화 중 가장 이해할 수 없는 것은?”이란 문제가 출제됐습니다.

이 문제의 보기로는 1번 더운 날 뜨거운 탕먹기 ‘이열치열’, 2번 더운데 꽁꽁무장 ‘자외선 차단 패션’이 나왔습니다.

이 보기 중에서 외국인이 가장 이해 못한 문화는 ‘이열치열’이 꼽혀 눈길을 끌었습니다. 조사에 참여한 52%의 외국인들이 더운 날 뜨거운 탕 먹는 것을 이해할 수 없는 한국 문화로 여겼습니다.

누리꾼들은 “이열치열은 나도 이해가 안된다” “오랫동안 한국에 산 외국인은 알겠지” “자외선 차단 패션 너무 웃긴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사진 = SBS ‘세대공감 1억퀴즈쇼’ 방송 캡쳐

외국인들이 한국문화에 대해 이해 못하는 문화는 무엇이었나요?

이 기사에 대한 누리꾼에 대한 반응은 무엇이었나요?

어떻게 해야 외국인이 한국문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을까?

우리가 이해 못하는 외국문화는 무엇이 있을까요?

<압록강은 흐른다>에서 만나는 우리 전통문화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책 이야기>

<상권>

(7~41p) 수암이와 함께 한 어린 시절중 가장 기억에 남는 일들은 무엇이 있나요?

1)

2)

3)

내가 미륵이라면 수암이를 어떤 아이로 소개할까?

 

(54쪽)수암이와 미륵은 왜 아이들 앞에서 매를 맞아야 했나요?

서당에서의 공부는 오늘의 공부와 어떤 점이 달랐나요?

(75쪽)설날 우리 고유의 명절은 어떤 명절인가요?

미륵에게 설날은 어떤 모습으로 그려졌나요?

(81쪽)수암이 '목사'의 관직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84쪽)미륵은 왜 '어사'에 대해 더 관심을 가졌나요?

(85쪽)수암, 미륵, 칠성이는 다 같은 사촌지간이면서 왜 칠성이와는 사이좋게 지내지 못했을까?

수암과 칠성이가 싸울 때 미륵이 수암의 편을 든 이유는 무엇일까?

(92쪽) 미륵의 어머니는 왜 먼 지방에서 올라오신 할머니를 '어머니'라고 부르게 하였을까?

대원 어머니란 무엇인가요?

(96쪽) 대원어머니에게 무한 감사의 마음을 가지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109쪽) 아버지가 병환에서 다시 일어났을 때 가족의 삶에 어떤 변화들이 일어났나요?

(116쪽) 자신이 원하던 신광사에 왔어도 왜 미륵은 기쁘지 않았나요?

(119쪽)신광사에서 돌아온 미륵은 왜 모든 꾸지람과 벌을 기꺼이 받았나요?

(131쪽)미륵은 자신과 아버지가 친구가 되었다고 했나요?

나에게 아버지가 친구 갔을 때는 언제인가요?

(146쪽)학교가 힘들다고 하는 미륵에게 아버지는 왜 소동파의 시와 영탄가를 외우게 하셨을까?

학교 공부가 어려울 때 나는 어떻게 하나요?

(156쪽)신식학교에 대해 설명하려는 미륵과 용마에게 사람들은 왜 문조차 열어주지 않았을까?

(162쪽)작은누나 어진이는 왜 미륵이 시간을 낭비한다고 했을까?

(150쪽) 아버지는 왜 미륵에게 학교에서 배운 유럽에 대해 듣기를 원했을까?

(163쪽) 신식학교에서 배우는 것이 왜 새로운 바람 새로운 것을 일깨우는 것이라고 했을까?

(172쪽)일본 상점과 상니들을 보고 최하층민이거나 너무 가난하다고 생각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하권>

(21쪽) 미륵은 왜 아버지께 학교 이야기를 오랜동안 하지 못했나요?

아버지의 사랑채에서 새로운 관리들과 새롭게 계약을 맺어야 했나요?

(16쪽)우리나라가 합병당한 것이 왜 사기를 당한 것이라고 생각했을까?

한일합병이란?

한일병합이란?

통감정치(統監政治) 이후 실질적인 통치권을 모두 일본에 빼앗겨 형해화(形骸化)한 한국을 국호마저 박탈하려던 획책은 이미 일본 내에서 1909년 7월 내각회의에서 확정된 상태였다. 1910년 6월 30일 일본은 한국의 경찰권을 빼앗은 다음, 7월 12일 '병합 후의 대한(對韓) 통치방침'을 마련해서 조선통감으로 임명된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가 이를 휴대하여 부임케 함으로써 본격적으로 국권침탈에 대한 공작을 전개하였다.

8월 16일 데라우치는 총리대신 이완용과 농상공대신 조중응(趙重應)을 통감관저로 불러 병합조약의 구체안을 밀의(密議)하고, 18일 각의(閣議)에서 합의를 보게 한 다음 22일 순종황제 앞에서 형식만의 어전회의를 거치게 하고 그날로 이완용과 데라우치가 조인을 완료하였다. 조약의 조인 사실은 1주일간 비밀에 부쳐졌다가 8월 29일 이완용이 윤덕영(尹德榮)을 시켜 황제의 어새(御璽)를 날인하여 이른바 칙유(勅諭)와 함께 병합조약을 반포(頒布)하였다. 이로써 조선왕조는 27대 519년 만에 멸망하고 한국은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다.

[출처] 한일병합조약 [韓日倂合條約 ] | 네이버 백과사전

(32쪽)학교 공부를 따라가기가 왜 힘이 들었나요?

한일합방(1910년)이후 학교공부가 달라진 점은 무엇인가요?

* 역사 / 지리 / 자연과학과 같은 공부는 왜 사라졌을까?

(63쪽)가뭄이 든 것을 왜 일본놈의 탓이라고 하였을까?

(36쪽) 미륵은 왜 자신이새학문에 대한 재능이 없는 것이 두렵고 슬펐을까?

(56쪽)미륵은 송림마을에서 왜 유럽까지 가려고 했나요?

어머니는 왜 미륵을 송림마을로 보냈나요?

(59쪽)유럽으로 가려고 하는 미륵에게 역무원은 왜 고향으로 돌아가 더 공부하라고 했나요?

(68쪽) 어머니는 왜 미륵이 서울에가 공부하는 것을 허락했나요?

미륵은 오히려 왜 서울에가지 않겠다고 했을까?

(78쪽)미륵은 왜 의학 공부를 선택했나요?

미륵이 의학과에 가기위해 준비해야 했던 공부는 무엇이었나요?

미륵은 왜 면접관에게 삶과 죽음의 원인에 대해 알고 싶어 의학을 공부한다고 하였을까?

*내가 해보고 싶은 공부는 무엇인가요?

왜 그 공부를 해보고 싶나요?

(85-98쪽)서울에 올라온 미륵에게 인상깊었던 점은 무엇이었을까?

(102쪽) 우리가 유럽 사람들에 비해 뒤 떨어진 이유가 철학적 사고가 아닌 실질적 지식에서 생겨났다고 하는 까닭은 무엇인가요?

조선 후기 실학사상가들이 많이 있었음에도 왜 우리가 실질적 지식이 떨어진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요즘은 왜 우리 교육에 인성교육이 필요하다고 하는 것일까?

실질적 학문만 발달하면 세상은 발달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까?

(103-110쪽) 한의학과 현대의학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122쪽)미륵과 익원이 참여한 민족 봉기 운동은 무엇인가요?

민족 봉기 운동으로 우리나라에 대한 일본의 달라진 정책은 무엇인가요?

왜 미륵은 고향으로 내려오게 되었나요?

(124쪽)어머니는 왜 미륵에게 유럽에 갈 것을 권유했을까?

(129-155쪽) 유학을 준비하며 머문 중국의 모습은 어땠나요?

(159-172쪽)중국에서 마르세유까지 여행하는 동안 미륵은 어떤 경험들을 하였나요?

(186쪽)독일 뮌헨에서 공부하고 있던 그에게 전해진 고향의 소식은 어떤 소식이었나요?

(글이랑)

글쓴이의 관점과 내 생각을 써보기(6학년 2학기 국어)

자전적 소설 [압록강은 흐른다]에서 지은이는 자신의 유년시절부터 독일유학오기까지의 과정 역사적 사건들이 잘 그려져 있습니다.

특히 그의 작품은 한글이 아닌 독일로 쓰여진 작품이 다시 한글로 우리에게 번역되어 알려진 작품입니다.

이 작품을 통해 지은이가 무엇을 이야기 하고 싶어했다고 생각하는지 자신의 생각을 써보세요.

 

 

 

?